이번 포스팅에서는 탄소중립 실천과 관련된 탄소중립포인트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도입 및 현황
- 도입: 2022년 1월 출범한 '탄소중립포인트제'는 에너지와 자동차 분야에서의 탄소중립 실천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된 혁신적인 제도.
- 현황: 도입 첫해 25만 9000명의 가입자에서, 2023년 12월 말에는 104만 명으로 가입자 수가 4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 혜택과 지급예산 증가
- 혜택: 국민이 실천한 탄소중립 행동에 대한 포인트 혜택으로,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지급예산: 2022년 24억 5000만 원에서, 2023년에는 89억 원으로 상당한 증가로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혜택이 확대되고 있다.
3. 사회적 기여와 확대된 범위
- 기여: 국민들의 참여를 통해 비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환경보호와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으며, 2022년 1월부터는 10개 항목의 다양한 탄소중립 행동으로 범위가 확대되어 국민들에게 더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4. 향후 계획과 지원책
- 모바일 앱: 내년 6월에는 간편한 가입과 참여 실적 조회를 위한 '탄소중립포인트 모바일 앱'을 공개할 예정으로, 더 편리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 소상공인 지원: 내년 7월부터는 다회용컵과 다회용기 이용 시 소비자에게 10%의 포인트를 지급하여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5. 정부의 기대와 호응
- 기대: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탄소중립포인트제도는 국민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동참할 수 있는 방법 중에 일상 생활속에서 언제든지 참여하고 덤으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라며 국민들에게 기대를 표명했다.
- 호응: 현재까지 113억 5000만 원이 넘는 포인트가 국민들에게 지급되었으며, 내년도 예산은 147억 7000만 원으로 확대되어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
이로써 '탄소중립포인트제'는 국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녹색생활의 일부로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과 미래세대를 위한 긍정적인 기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반응형
'F.Y.I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혁신] 복지멤버십 (1) | 2024.05.01 |
---|---|
[정부혁신] 여권 재발급 서비스 (3) | 2024.04.22 |
봄맞이 쇼핑 미리온(ON)동행축제 (9) | 2024.02.27 |
수소차 30만대 보급, 2030년 수소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 (2) | 2023.12.18 |
23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20곳 선정 (14)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