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국가 자격서비스란?
국민이 국가기술 자격증을 모바일로 발급받아 언제 어디서나 자격증명이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언제까지 종이 자격증?
- 취업준비생 김인재 씨(28세)는 코로나19로 심각해진 취업난에 오래 기다려온 A 기업의 채용 공고에 설렜지만, 필기시험공부만으로도 벅찬 상황에서 입사 지원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준비해 제출할 것을 생각하니 막막하기만 했다. 가산점을 확보하기 위해 수년 전에 취득한 정보처리기사 국가기술 자격증 수첩을 찾느라 고생하던 중 ’ 21년부터 ‘국가기술 자격증 모바일 발급·활용서비스’를 시작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인재 씨는 수첩형이나 상장형 자격증을 스캔해 A 기업에 우편 발송할 필요 없이, 채용 플랫폼에서 이력서를 작성할 때 자격취득 정보를 자동 연계해 바로 제출할 수 있어서 매우 편했다. 그뿐 아니라 사본일지라도 자격증을 제출하는 과정에서 혹시 있을지 모를 개인정보 유·노출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A 기업 인사 담당자 전인사 씨(40세). 금년도 상반기 신규 채용 업무를 맡았는데 2,000명이 넘는 입사지원자의 이력서와 각종 증빙서류를 검토해야 한다는 생각에 한숨부터 나왔다. 지난해 서류전형 과정에서 지원자들의 자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개인별 정보를 취합하고 정리해서 한국산업인력공단에 국가기술자격 취득정보 진위확인을 요청하고, 약 1주일 이상을 기다려 회신받았던 것이 떠올랐다. 또 며칠간 행정 업무에 시달리겠구나 싶어서 아찔했는데 다행히도 올해부터는 업무가 간소해졌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이제는 모바일 자격증 시대!
-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의 자격증명서비스는 국민과 기업, 공단 모두에게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했다. 공단은 이러한 비용을 줄이고, 국민이 국가 자격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대안을 마련했다. 편리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ICT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국민에게 가장 친숙한 대표 플랫폼(정부 24, 네이버, 카카오) 3곳과 협업하여, 국가기술 자격증을 스마트폰에 담아 국가 자격서비스를 디지털로 전환한 것이다. 이제 매년 약 70만 명의 국가기술자격 취득자는 번거롭게 실물 자격증을 찾을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네이버·카카오 계정을 통해 공단의 모바일 국가 자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구직자는 채용정보플랫폼(사람인, 잡코리아, 진학사 캐치)에서 온라인 이력서 작성 시 본인의 자격정보를 불러와 자동 입력할 수 있고, 교육부·서울시 등 정부 기관에서는 행정정보 공동이용망을 통해 인사·채용시스템과 자격정보를 자동 연계해 자격취득정보 진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자격서비스는 구직자에게는 안정된 일자리를, 기업에는 우수 인재를 이어주는 징검다리가 되었다. 지원자가 모바일 취업플랫폼(사람인 HR)에서 국가기술자격 취득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해 진위확인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인사 씨는 큰 일거리 하나가 줄어들어 콧노래가 절로 나왔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끝
- 공단은 앞으로도 다양한 채용정보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국민의 취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고, 공공분야에도 다양한 인사·채용시스템과 정보를 연계해 인사업무의 효율화에 이바지할 것이다. 특히,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1년 국민정책디자인단에서 발굴한 아이디어를 반영해 네이버·카카오의 콘텐츠와 결합한 신규 모바일 국가 자격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예정이다. 앞으로 국민은 자격증 취득 준비부터 활용까지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스마트폰에서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출처] 행정안전부 2021 정부혁신 100대 사례
반응형
'F.Y.I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주민등록증 단계적 확대 (1) | 2025.02.13 |
---|---|
[정부 혁신] 상조상품 해약, 환급 (1) | 2024.05.27 |
[정부혁신] 보조금 24 (1) | 2024.05.08 |
[정부혁신] 복지멤버십 (1) | 2024.05.01 |
[정부혁신] 여권 재발급 서비스 (3) | 2024.04.22 |